반응형
소켓은 기본적으로 봉쇄/동기로 만들어진다.
이 모델은 데이터 입출력 부분에서 봉쇄(blocking)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.
이런 모델로는 하나의 쓰레드에서 두 개 이상의 소켓을 다루기가 힘들다. 그래서 모델을 바꾸지 않고 두 개 이상의 소켓을 처리 하려면 멀티 쓰레드를 사용하는 수 밖에 없다.
하지만 윈도우 운영체제는 멀티 태스킹을 지원한다. 이는 입출력 모델과는 상관없이, 커널은 여러 소켓으로 부터의 입력을 처리 한다는 의미이다. 단지 이 기능을 봉쇄(blocking)/동기 입출력 모델의 한계로 쓰지 못하는 것일 뿐이다.
이 문제는 입출력 모델을 비동기/봉쇄(blocking) 혹은 비동기/비봉쇄(non-blocking)를 쓰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.
비동기/봉쇄(blocking) 모델을 사용하는 기술이 select 함수를 이용한 입출력 다중화이다.
이번에 정리할 Overlapped I/O 모델은 비동기/비봉쇄(non-blocking)의 응용 모델이다.
즉, Overlapped는 non-blocking+(비동기적) 완료 통보 라고 보면된다.
I/O(입출력)의 중첩
- I/O의 중첩이라는 것은 쓰레드의 관점에서 동시에 둘 이상의 데이터 전송을 중첩시키는 것.
- 데이터 전송을 중첩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입출력 함수가 non-blocking 모드로 동작
Overlapped I/O
- Overlapped IO가 아니더라도 입출력을 중첩시킬 수 있다.
- Overlapped IO의 중점은 입출력의 완료 확인방법에 있다.
- select가 아닌 정확한 비동기는 입출력에 대한 명령을 커널로 전송 후 끝났을 때 signal을 자동으로 받아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 => 이를 Overlapped I/O를 사용.
- User와 Kernel 사이에서 계속해서 확인
- WSASend 와 WSARecv 함수를 이용한다.(기존의 send와 recv 함수의 기능을 모두 다 수행 하면서, 아래의 두가지 항목을 추가적으로 지원한다.
- 중복된 전송 연산을 수행하도록 중복(Overlapped)소켓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기능
- 여러개의 전송 버퍼를 두어 전송 할 수 있는 기능
Completion Routine
- Completion Routine의 이해와 등록
- 등록과 호출로 이루어짐.
- 입출력이 완료되었을때 호출되는 함수를 가리켜 Completion Routine이라 한다.
- 입출력이 안료되면, 미리 등록된 Completion Routine이 운영체제에 의해서 자동으로 호출
- Completion Routine이 호출되기 위해서는 해당 쓰레드가 alert wait상태에 놓여야 한다.
- Alert wait은 운영체제가 전달하는 메시지의 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말한다.
- Alertable wait 상태로 진입에 사용되는 함수들
- WaitForSingleObjectEX
- WaitForMultipleObjectsEx
- WSAWaitForrMultipleEvents
- SleepEX
- Completion Routine 기반의 입출력 완료 확인은 함수의 등록과 등록된 함수의 호출을 통해서 이뤄진다. 단, 등록된 함수가 호출될 수 있도록 쓰레드는 Alert wait 상태가 되어야 한다.
- Completion Routine의 예
/*
## 소켓 서버 : 1 v n - overlapped callback
1. socket() : 소켓생성
2. bind() : 소켓설정
3. listen() : 수신대기열생성
4. accept() : 연결대기
5. read()&write()
WIN recv()&send : 데이터 읽고쓰기
6. close()
WIN closesocket : 소켓종료
*/
#include "stdafx.h"
#pragma comment(lib,"Ws2_32.lib")
#define MAX_BUFFER 1024
#define SERVER_PORT 3598
struct SOCKETINFO
{
WSAOVERLAPPED overlapped;
WSABUF dataBuffer;
SOCKET socket;
char messageBuffer[MAX_BUFFER];
int receiveBytes;
int sendBytes;
};
void CALLBACK callback(DWORD Error, DWORD dataBytes, LPWSAOVERLAPPED overlapped, DWORD Inflags);
int _tmain(int argc, _TCHAR* argv[])
{
//Winsock Start - winsock.dll 로드
WSADATA WSAData;
if (WSAStartup(MAKEWORD(2, 2), &WSAData) != 0)
{
printf("Error - Can not load 'winsock.dll' file\n");
return 1;
}
//1.소켓 생성
SOCKET listenSocket = WSASocket(AF_INET, SOCK_STREAM, 0, NULL, 0, WSA_FLAG_OVERLAPPED);
if (listenSocket == INVALID_SOCKET)
{
printf("Error - Invalid socket\n");
return 1;
}
//서버정보 객체 설정
SOCKADDR_IN serverAddr;
memset(&serverAddr, 0, sizeof(SOCKADDR_IN));
serverAddr.sin_family = PF_INET;
serverAddr.sin_port = htons(SERVER_PORT);
serverAddr.sin_addr.S_un.S_addr = htonl(INADDR_ANY);
//2. 소켓 설정
if (bind(listenSocket, (struct sockaddr*)&serverAddr, sizeof(SOCKADDR_IN)) == SOCKET_ERROR)
{
printf("Error - Fail bind\n");
// 6. 소켓종료
closesocket(listenSocket);
// Winsock End
WSACleanup();
return 1;
}
//3. 수신대기열 생성
if (listen(listenSocket, 5) == SOCKET_ERROR)
{
printf("Error - Fail listen\n");
// 6. 소켓종료
closesocket(listenSocket);
// Winsock End
WSACleanup();
return 1;
}
SOCKADDR_IN clientAddr;
int addrLen = sizeof(SOCKADDR_IN);
memset(&clientAddr, 0, addrLen);
SOCKET clientSocket;
SOCKETINFO* socketInfo;
DWORD receiveBytes;
DWORD flags;
while (1)
{
clientSocket = accept(listenSocket, (struct sockaddr*)&clientAddr, &addrLen);
if (clientSocket == INVALID_SOCKET)
{
printf("Error - Accept Failure\n");
return 1;
}
socketInfo = (struct SOCKETINFO*)malloc(sizeof(struct SOCKETINFO));
memset((void*)socketInfo, 0x00, sizeof(struct SOCKETINFO));
socketInfo->socket = clientSocket;
socketInfo->dataBuffer.len = MAX_BUFFER;
socketInfo->dataBuffer.buf = socketInfo->messageBuffer;
flags = 0;
// 중첩 소캣을 지정하고 완료시 실행될 함수를 넘겨준다.
//callback -> Completion Routine 등록
//&(socketInfo->overlapped) -> Overlapped IO를 위한 인자의 전달
if (WSARecv(socketInfo->socket, &socketInfo->dataBuffer, 1, &receiveBytes, &flags, &(socketInfo->overlapped), callback))
{
if (WSAGetLastError() != WSA_IO_PENDING)
{
printf("Error - IO pending Failure\n");
return 1;
}
}
}
// 6-2. 리슨 소켓종료
closesocket(listenSocket);
// Winsock End
WSACleanup();
}
//운영체제가 사용자에게 알리는 Callback 함수
//Callback 함수를 통해 recv 호출이 완료되면 호출되도록 구현
void CALLBACK callback(DWORD Error, DWORD dataBytes, LPWSAOVERLAPPED overlapped, DWORD lnFlags)
{
struct SOCKETINFO* socketInfo;
DWORD sendBytes = 0;
DWORD receiveBytes = 0;
DWORD flags = 0;
socketInfo = (struct SOCKETINFO*)overlapped;
memset(&(socketInfo->overlapped), 0x00, sizeof(WSAOVERLAPPED));
if (dataBytes == 0)
{
closesocket(socketInfo->socket);
free(socketInfo);
return;
}
if (socketInfo->receiveBytes == 0)
{
// WSARecv(최초 대기에 대한)의 콜백일 경우
socketInfo->receiveBytes = dataBytes;
socketInfo->sendBytes = 0;
socketInfo->dataBuffer.buf = socketInfo->messageBuffer;
socketInfo->dataBuffer.len = socketInfo->receiveBytes;
printf("TRACE - Receive message : %s (%d bytes)\n", socketInfo->messageBuffer, dataBytes);
if (WSASend(socketInfo->socket, &(socketInfo->dataBuffer), 1, &sendBytes, 0, &(socketInfo->overlapped), callback) == SOCKET_ERROR)
{
if (WSAGetLastError() != WSA_IO_PENDING)
{
printf("Error - Fail WSASend(error_code : %d)\n", WSAGetLastError());
}
}
}
else
{
// WSASend(응답에 대한)의 콜백일 경우
socketInfo->sendBytes += dataBytes;
socketInfo->receiveBytes = 0;
socketInfo->dataBuffer.len = MAX_BUFFER;
socketInfo->dataBuffer.buf = socketInfo->messageBuffer;
printf("TRACE - Send message : %s (%d bytes)\n", socketInfo->messageBuffer, dataBytes);
if (WSARecv(socketInfo->socket, &socketInfo->dataBuffer, 1, &receiveBytes, &flags, &(socketInfo->overlapped), callback) == SOCKET_ERROR)
{
if (WSAGetLastError() != WSA_IO_PENDING)
{
printf("Error - Fail WSARecv(error_code : %d)\n", WSAGetLastError());
}
}
}
}
반응형
'네트워크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: Commands out of sync; you can't run this command now 에러 (0) | 2022.12.15 |
---|---|
System.Runtime.Serialization.SerializationException: Unable to find assembly 오류 (0) | 2022.12.11 |
유니티 3D 네트워크 게임(2) (0) | 2022.06.03 |
유니티 3D 네트워크 게임(1) (0) | 2022.06.01 |
IOCP 공부 (3) (0) | 2022.05.05 |